정치적 격변 이후, 새로운 시대의 키워드는 ‘신뢰’와 ‘공감력’이다
대한민국은 또 하나의 큰 정치적 격동기를 지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이라는 역사적 사건은 단순히 정권의 변화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리더십의 실패’에 대한 국민의 집단적 판단이며, 동시에 새로운 리더십에 대한 요구이기도 하다.
이제 유권자의 질문은 명확하다. “누가 리더십의 공백을 메울 것인가?”
리더십의 공백: 단순한 자리가 아닌, 신뢰의 붕괴
윤석열 정부가 보여준 것은 권력 의지였지만, 국민이 원했던 것은 방향성과 신뢰였다. 리더십의 공백은 정치인 한 명의 부재가 아니라, 민주주의 시스템 전반에 대한 회의와 신뢰 상실을 뜻한다. 때문에 2025년 대선은 단순한 정권 교체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정치의 재설정’을 향한 투표다.
보수와 진보, 그 너머의 가능성
보수 진영은 여전히 윤 전 대통령의 후광을 활용하려는 시도와 새로운 비대위 체제를 중심으로 재편 중이다. 반면 진보 진영은 정치적 유리함을 얻었지만, 명확한 ‘미래의 리더상’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눈에 띄는 건 중도 혹은 정치 신인 세력에 대한 기대치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더 이상 '정치 경력'만으로는 표를 얻지 못한다. 유권자들은 다음 리더가 가진 ‘비전’과 ‘공감력’, 그리고 ‘실행 가능성’을 보려 한다.
차기 유력 후보군: 누가 무엇을 말하는가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여전히 강력한 지지층과 선명한 어젠다를 가진 인물. 하지만 기득권 이미지, 사법 리스크 등은 숙제다. - 안철수, 유승민 (중도·개혁 우파)
합리적 보수 혹은 실용 정치의 상징. 문제는 ‘대중성’이다. 리더십보다 설득력 있는 스토리텔링이 절실하다. - 이낙연, 김부겸 (중도 진보)
온건함과 경륜을 무기로 조용한 상승세를 노린다. 변화의 이미지보다는 ‘안정’에 가까운 선택지. - 정치 신인 또는 외부인사 가능성
2025년 대선은 '비정치인 후보'에 대한 갈망도 심상치 않다. 누군가 돌연 변화를 상징하며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음 리더의 조건은 무엇인가?
-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어젠다 제시 능력
지금 국민은 성장보다 공존을, 경쟁보다 회복을 원한다. 그에 맞는 ‘서사’를 설계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 - 공감력과 커뮤니케이션
대통령이 ‘말’로 평가받는 시대다. 카리스마보다 유연함, 설득보다 공감이 먹히는 시대. - 실행력과 도덕성의 균형
리더의 ‘결단력’은 기본. 동시에 검증된 청렴함이 아니면 그 누구도 지지를 끌어낼 수 없다.
정치의 중심은 다시 ‘국민’으로
2025 대선은 단지 차기 대통령을 고르는 선택지가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어떤 리더를 원하는지, 또 앞으로의 민주주의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묻는 질문이다.
리더십의 공백을 메우는 것은 결국 국민이다. 정치인이 아닌, ‘누구를 믿을 수 있는가’에 대한 집단적 대답. 그 대답이 곧 대한민국의 미래가 될 것이다.
'목요 정치 감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는 정치적일 수 있는가? 인공지능과 민주주의의 경계 (0) | 2025.05.08 |
---|---|
트럼프 이후의 미국: 분열된 사회와 정치의 미래 (0) | 2025.05.08 |
디지털 시민권: 인터넷 공간에서의 정치적 자유 (0) | 2025.05.01 |
청년 정치 참여: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젊은 세대의 목소리 (2) | 2025.05.01 |
차별금지법: 정의와 필요성, 그리고 사회적 논란 (0) | 2025.04.17 |